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본문시작

조회 수 3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 문두찬(27회)

?

?친구나 동문들과 모교 초창기에 대해 얘기하다 보면 흔히 궁금해 하는?질문이 있다.

?

1. 초창기에 학제 편성이 4년제, 5년제와 6년제가 같이 있었는가?

2. 해방 후? 일중(부산중)도 남일국민학교 교사에서 이중(경남중)과 같이 새출발하는데 왜 졸업 기수는 다른가?

?

?비슷한 설명이 필요한 질문들이다. 첫번째 질문에 대해 먼저 얘기해 보자. 1942년 처음 제이중으로 개교할 당시 학제는 5년이었다.하지만 1943년 전시비상조치령이 내려지면서 중학교와 고등여학교(고녀)의 수업 연한이 5년에서 4년으로 축소된다. 해방 후에도 당분간 이 학제가? 유지되다가 미군정이 들어서면서 중학교와 고녀의 수업 연한이 6년으로 바뀌게 된다.?아직 우리나라에 고등학교 명칭의?제도가 도입되기 전이다.?1946년에 경남중?제1회 졸업생 72명은 4년간의 수업 연한을 마치고 졸업한다.4년제인 1회의 졸업 연도는 1946년이고 6년제인 2회의 졸업 연도는 1948년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모교 1회와 2회 졸업생은 같은 학년이다. 2회 졸업생수가 30여명으로 적은 이유이기도 하다.?

?

?해방 직후 서울대(경성대학) 학제는 일제시대와 유사하게 예과와 본과 과정으로 나뉘어 있었다. 중학교 4년 과정을 마친 학생은 대학에서 예과 과정 2년을 마쳐야 본과에 들어갈 수 있는 반면 중학교 6년 과정을 마친 학생은 대학교 본과로 바로 입학할 수 있었다. 1회와 2회 졸업생은 같은 학년이었지만 당시 경제 사정 등의 이유로?대학 예과 과정에 입학하기 어렵거나 그 과정을?원하지 않는 학생은 2년 더 수업 연한을 늘려 2회로 졸업하게 된다.

?

?두번째 질문에 대한 설명은 이해가 쉬워진다. 부산중고의 경우 해방 후 재개교하지만 1946년에 졸업하는 1회 졸업생의?숫자가 매우 적고(4년제,26명), 우리 모교의 2회에 해당하는 기수가 없이 1949년에 2회 졸업생(6년제)이 배출된다. 부산고의 2회 졸업생이 우리 모교의 3회 졸업생과 같은 학년인 셈이다. 부산고는 우리나라에 고등학교 제도가 도입되면서 부산중과 분리하여 부산고등학교명으로 처음 졸업하는 1952년도의 졸업 기수(통산 5회 졸업)를 부산고 1회로 부르기도 한다.

?

?앞서 질의드렸던 우리 모교 1회(1946년 졸업)와 3회(1949년 졸업)?졸업생이?한 학년 차이였음도?어렵지 않게 알게 된다.?(계속)

?

?

  1. 우리 31회는 드디어 해냈다 우승을~!!!

    Date2008.11.10 By31회 총동창회 Views3767
    Read More
  2. 해킹프로그램 바탕화면 깔려져 있다면 당장 삭제바람!

    Date2010.01.19 By성정환 Views2763
    Read More
  3. "불꽃처럼" (나의 해병대 일기)

    Date2012.11.12 By구문굉 Views1869
    Read More
  4. "인간의 목소리를 듣고 싶다"

    Date2006.08.07 By이재일(18회) Views2931
    Read More
  5. <송년의 밤> 유감

    Date2016.12.12 Bybhch4358 Views547
    Read More
  6. '강한성당'(强漢盛唐`)

    Date2019.06.17 Byzkcld Views361
    Read More
  7. '긴급채포' 란 과연 무엇인지요 !

    Date2006.08.08 By이헌진(10회) Views2682
    Read More
  8. '긴급채포'가 자백받는 수단이 되어서야! (끝회)

    Date2006.08.08 By이헌진(10회) Views2681
    Read More
  9. '꿈속'의 선문현답(選問賢答)

    Date2006.08.07 By이헌진(10회) Views2787
    Read More
  10. '독도' 와 한말 1905년

    Date2006.08.08 By이헌진 Views2775
    Read More
  11. '식물국민'을 위한 '긴급처방'

    Date2006.08.07 By이헌진(10회) Views2793
    Read More
  12. '식물국민'을 위한 처방 (2)

    Date2006.08.07 By이헌진(10회) Views2729
    Read More
  13. '유엔사무총장' 이라. 반장관 꿈깨시요.

    Date2006.08.08 By이헌진 Views2881
    Read More
  14. '적기가'에 대한 낭패의 기억

    Date2006.08.08 By이헌진(10회) Views3430
    Read More
  15. '푸른집' 큰성님 전 상서 (1)

    Date2006.08.07 By이헌진(10회) Views3022
    Read More
  16. '헌법재판소'를 왜. 괴롭힙니까 !!

    Date2006.08.08 By이헌진(10회) Views3054
    Read More
  17. (작성자:강영녕)감사합니다.

    Date2008.05.28 By동창회 Views2779
    Read More
  18. 080210 23용마 고헌산산행

    Date2008.02.11 By오기묵 Views2453
    Read More
  19. 080323 23용마들의 여수 영취산 산행

    Date2008.03.26 By오기묵 Views2600
    Read More
  20. 080413 23용마들의 토곡산 산행

    Date2008.04.15 By오기묵 Views258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